인공감미료 12종 : 종류, 열량, 혈당지수, 당도, 섭취량 총 정리
인공감미료/대체감미료(Sweetener)는 인공조미료에 속하는 감미료로 대체당이라고 부릅니다. 설탕을 대신해 단맛을 내는 데 사용하는 화학합성물입니다. 설탕보다 수십 배에서 많게는 수백 배의 강한 단맛을 내기도 합니다.
설탕을 대체하는 이유 / 인공감미료가 필요한 이유
1. 설탕은 달고, 칼로리가 높은 식품입니다.
설탕은 과자, 반찬, 각종 가공식품 등 거의 모든 식품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습니다.
2. 설탕은 과잉섭취시 부작용이 있습니다.
설탕은 다량으로 넣어야 단 맛을 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너무 많이 섭취할 경우 치아가 상하거나 살이 찌거나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합니다.
3. 인공감미료는 비영양물질인 경우가 많아 설탕의 단점을 극복합니다.
설탕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단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이 인공감미료입니다. 설탕보다 섭취를 덜 하면서 단맛을 유지할 수 있는 감미료가 화학적 결합을 통해 발명됩니다. 인공감미료는 비영양물질인 경우가 많아 대부분 칼로리가 없거나 매우 적습니다.
인공감미료의 네 가지 분류
인공감미료는 합성감미료, 천연감미료, 천연당, 당알코올로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.
1. 합성감미료
합성감미료는 화학결합으로 만들어낸 인공감미료 입니다. 소량으로 단맛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설탕에 비해 당도가 너무 강해 양조절이 쉽지 않습니다. 원가가 저렴하여 대량가공식품의 원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. (예: 제로콜라) 하기 분류 외 시클라메이트, 둘신, 아세설팜칼륨 등이 있습니다.
분류 | 이름 | 열량(kcal/g) 설탕 : 4kcal/g |
혈당지수 | 당도 | 1일 섭취허용양(g) |
합성감미료 | 수크랄로스 | 0 | 0 | 설탕의 600배 | 0.9 |
아스파탐 | 0 | 0 | 설탕의 200배 | 2.4 | |
사카린 | 0 | 0 | 설탕의 300배 | 0.3 |
2. 천연감미료
천연감미료는 식물의 잎이나 종자 등에서 추출한 천연유래당입니다. 다른 감미료에 비해 가공절차가 복잡해 가격이 비싼 편에 속합니다. 그 중 스테비아는 감미료 중에서도 체내 긍정적인 효과를 많이 갖추고 있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. (예 : 다이어트, 항산화, 노화방지 등) 하지만 과다 섭취 시 복통이나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.
분류 | 이름 | 열량(kcal/g) 설탕 : 4kcal/g |
혈당지수 | 당도 | 1일섭취허용양(g) |
천연감미료 | 스테비아 | 0 | 0 | 설탕의 300배 | 50 |
나한과 | 0 | 0 | 설탕의 300배 | - |
3. 천연당
천연당은 말 그대로 천연상태에서 존재하는 당의 종류로 과일이나 식물, 예를 들어 벌꿀이나 사탕 수수, 돼지감자 등에서 직접 분류하여 추출합니다. 하기 분류표 외에 팔라티노스, 프락토올리고당등 이 있습니다.
분류 | 이름 | 열량(kcal/g) 설탕 : 4kcal/g |
혈당지수 | 당도 | 1일섭취허용양(g) |
천연당 | 자일로스 | 0 | 0 | 셜탕과 유사 수준 | - |
타가토스 | 1.5 | 3 | 설탕의 92% | 2.4 | |
알룰로스 | 0.4 | 0 | 설탕의 70% | 54 |
4. 당알코올
당을 알코올로 환원시킨 감미료로 당의 미각적인 특성과 체내에서 쉽게 배출되는 알코올의 특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당입니다.
분류 | 이름 | 열량(kcal/g) 설탕 : 4kcal/g |
혈당지수 | 당도 | 1일섭취허용양(g) |
당알코올 | 자일리톨 | 2.4 | 12 | 설탕과 유사 | 5~10g |
말티톨 | 2.1 | 35~52 | 설탕의 70% | - | |
에리스리톨 | 0 | 0 | 설탕의 70~80% | 50 |
'온갖 잡다구리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시 청년 교통비지원 대상 및 신청방법, 사전 준비물, 참여제한 대상 정리 (0) | 2023.03.30 |
---|---|
전자화폐 vs 가상화폐 vs 암호화폐 vs CBDC 개념과 차이점 (0) | 2023.03.02 |
CMYK RGB 차이 : 3원색이란? (0) | 2023.02.08 |
2023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월급 (0) | 2023.01.11 |
2023년 팬톤컬러 / 팬톤 올해의 컬러(PANTONE Color of the Year 2023) : 비바 마젠타(Viva Magenta) (0) | 2023.01.10 |
댓글